1. 유량의 정의
임의의 단면 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부피 또는 질량의 시간에 대한 비율을 말한다.
2. 유량 측정단위
2.1 체적유량 (ex : m^3/h,m,s)
물,공기나 가스의 경우 주로 체적유량 단위로 표시하며 배관내 평균속도(m/s)와 배관단면적(m^2)의 곱으로 계산한다.
2.2 질량유량 (ex : kg/h,m,s)
증기는 열량이 Kcal/kg으로 표시되므로 보통 질량유량단위로 표시하며 체적유량에 밀도(kg/m^3)를 곱으로 계산한다.
3. 점도
유체내에서 분자간의 저항 또는 유체가 흐를 때 발생하는 일시적인 저항값을 말한다.
점도는 온도만의 함수이며, 절대점도 와 동점도를 구분하여 사용한다. 동점도는 절대점도의 값을 유체의 밀도로 나눈값을 의미한다.
ex) 액체는 온도가 상승하면 점도는 작아지고 온도가 내려가면 점도가 커진다. 기체는 온도가 상승하면 점도가 커진다. 절대점도=밀도*동점도
4. 압축계수
압축계수는 유체가 기체일 경우에 한하여 사용되는 유체의 물성이다.
PV= nRT
n: 기체의몰수 R: 일반기체상수 (8.31434 KJ/Kmol K)
*0도씨 1기압상태에서 모든 기체의 분자 1몰은 22.4리터 부피를 차지한다. 1 mol = 6.023 x 10^23 분자
5. 베르누이 방정식
정상상태에서 마찰 및 점성이 없는 비압축성 이상유체가배관애의 1지점에서 2지점으로 흐를 경우 각 유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의 합은 일전하다는 것
6. 연속방정식
정상상태흐름에서 1지점과 2지점을 통과하는 유체의 질량유량은 동일하다 즉, 배관내 유체의 유속은 단면적에 반비례한다.
7. 보일샤를의 법칙
이상기체인 경우 일정량의기체 부피는 절대압력에 반비례하고,절대온도에 비례한다.
*실제 기체에 있어서도 분자량이 작고, 압력이 낮고, 온도가 높고, 비체적이 크면 이상기체에 가깝다.)
|